아이튠즈 동기화시 기기 아이콘 정렬 안풀리게 하는 방법!

출처 : http://napri.tistory.com/753 컴퓨터 교체나 포맷 후에 아이튠즈에 기기 동기화 할때 기기의 아이콘이 좌~~~악 펼쳐지면서 정렬이 되죠.이번에 맥북 교체해서 동기화하려니 그 많은 아이콘 정렬할거 생각하니 두통발생 ^^ 구글링 해보니 방법이 있더군요. 방금 실행해 보았는데 정말 잘되네요. 게보린보다 확실한두통치료제 ㅎㅎㅎ 저는 아래와 같이 했습니다.“응용프로그램 동기화”체크 -> 적용 -> 동기화중 나옴. 1초 후 케이블제거 -> 아이튠즈 강제종료 …
아이튠즈 동기화시 기기 아이콘 정렬 안풀리게 하는 방법! 더보기

작업표시줄을 2개 또는 3개로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-MultiMon Taskbar

모니터를 여러개 연결하여 사용할 때 작업표시줄이 1개 뿐이라 불편한 경우 유용합니다.모니터 최대 3개까지 적용가능합니다만 아쉽게도 상하는 지원하지 않습니다.* 기능 – 보조 모니터 아래에 작업표시줄을 생성해줌 – 단축키를 이용한 창 이동   (ctrl+art+좌우화살표키)사용방법은 간단하므로 사용설명은 패쓰~~~! 1275512975.zip

의자놀이 – 공지영

공지영 작가의 의자놀이! 지인에게 책을 빌려서 읽어보았다.지금도 진행형인 쌍용자동차이야기 이다.쌍용자동차의 매각, 파업, 진압, 권력의 힘 등 읽으면서 답답함! 슬픔! 분노! 허무함! 만감이 교차하는 이야기…행복했던 가정이 파괴되고, 동료였던 친구였던 가족이였던 사람들이 서로 적이 되고 무참히 권력에 밟히는  이야기… 쌍용자동차 직원들의 아픔과 고통을 담은 책이다. 책의 글 중에 이런 부분이 있다. 자신들이(쌍용자동차 노조) 구조조정, 파업을 하게되니쌍용자동차 바로 …
의자놀이 – 공지영 더보기

마크트웨인의 유쾌하게 사는법

마크트웨인 이란 사람은 누구?《톰소여의 모험》을 쓴 미국 소설가. 사회 풍자가로서 남북 전쟁 후에 사회 상황을 풍자한《도금시대》와 에드워드 6세 시대를 배경으로 한《왕자와 거지》등을 썼다. 또 미국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비판하고 반제국주의, 반전 활동에 열성적으로 참여했다. [출처] 트웨인 | 두산백과  우리에게 친숙한 톰소여의 모험, 왕자와 거지 등 훌륭한 책을 많이 쓴 분의 이야기를 다룬 내용! 그런데 당췌 책의 내용에서 …
마크트웨인의 유쾌하게 사는법 더보기

무설치-프락시 설정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에 프락시 사용하기

부사리입니다. 프락시 설정을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에 프락시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.예를 들어, A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려고 하는데 방화벽에서 막혀 접속이 안되는 경우 프락시를 사용하여               우회하면되지만 문제는 A라는 프로그램자체에 프락시 입력할 곳이 없다면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               실행하시면 됩니다. 프로그램명 : SocksCap 제조사 : …
무설치-프락시 설정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에 프락시 사용하기 더보기

텍스트큐브에 소셜댓글 라이브리를 달아보자.-2번째 이야기

안녕하세요. 부사리입니다.예전 글에(텍스트큐브에 소셜댓글 라이브리를 달아보자.) 블러그에 소셜댓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리를 소개한 적이 있었습니다. 그 시점에는 소스 수정도 좀 번거럽고 불안정도 하기도 하였습니다.더구나 몇 달전 구글에서 라이브리 소스를 악성코드로 인식하여 악성코드 의심사이트로 2일정도 IE를 제외한 크롬, 파이어폭스 등에서 제 사이트 접속할 때 경고페이지가 나왔습니다. ㅠ.ㅠ 뭐 이런저런 이유로 블러그에서 라이브리를 삭제했는데 최근에 라이브리가 업데이트 되었더군요.예전보다 …
텍스트큐브에 소셜댓글 라이브리를 달아보자.-2번째 이야기 더보기

OC-NSHost – 컴퓨터 정보가져오기

[code] int main(int argc, const char * argv[]) { @autoreleasepool { NSHost *host = [NSHost currentHost]; NSLog(@”내 컴퓨터 정보는 %@”, host); NSString *localizedName = [host localizedName]; NSLog(@”내 컴퓨터 이름은 %@”, localizedName); } return 0; } [/code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