윈도우 드라이버 백업프로그램

라인센스 : 프리웨어(?) 제작사 : 모름 운영체제 : MS계열 1189135928.zip 윈비비에스에서 받은 겁니다. 사용기간이 있지만 프로그램 특성상 1회성 사용이 많을 것 같아 올립니다. 설치 후 드라이버 백업 하면 되구요. 나중에 윈도우 설치 등을 한 후 드라이버 폴더 설정해주면 됩니다.

드라이버 숨기기 레지스트리 파일

라이센스 : 프리웨어 제작사 : 본인 운영체제 : xp, 2003에서 테스트 함. 1207932793.zip   압축해제 하면 레지스트리 파일 여러개 나옵니다. ahide.reg는 a드라이버 숨김 bhide.reg는 b 드라이버 숨김 …… unhide.reg는 숨김해제 입니다.   * 설정 원리(이해하실 분만 하세요. ^^) ? 파일 내용보시면 눈치빠른 분은 알겠지만 16진수로 코드가 변경됩니다. ? 단, 드라이버순서는 2진수가 적용됩니다.

XP 방화벽 설정/해제 레지스트리 파일

라이센스 : 프리웨어운영체제 : XP 다운로드 : 여기를 클릭 XP SP2 설치 후 자동으로 설정되는 방화벽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전화해서 매번 설명하기 힘들어서 레지스트리 수정했습니다. 첨부파일 압축 해제 후 등록.reg 병합하면 방화벽 설정되고 해제.reg 병합하면 방화벽 설정해제 됩니다.

인터넷 보안옵션 비활성화 된 경우

라이센스 : 프리웨어 제작사 : 없음 운영체제 : XP에서만 확인됨 1188133839.zip 최근 들어 인터넷 보안 옵션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가 많아서 만들어(솔직히 레지스트리 수정^^;) 보았습니다. 첨부파일 압축해제 후 두개의 레지스트리 파일 병합 후 재부팅하시면 됩니다

IP SCAN 프로그램

라이센스 : 프리웨어 제조사 : http://www.angryziber.com/ipscan 1053548975.zip 아시는 분은 모두 아시겠지만 ip 스캔 프로그램입니다. ?안 쓰는 ip나 ip 리스트 확인 할 때 편하더군요. 무료 프로그램 중 검색 속도는 짱이라고 생각합니다. ^^ 기능도 여러가지 입니다. 포트스캔도 되고… * 주의 : 저희 회사 네트워크의 경우 이 프로그램으로 스캔을 하면 서버에서 해킹시도로 판단하여 네트워크 차단을 시켜버립니다. ^^;

윈도우 업데이트 사용자 동의 창크기가 이상할 때

아래 그림처럼 가끔씩 윈도우 업데이트 사용자 동의 창이 제대로 안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. 아마도 MS에서 폼크기 설정에 문제가 있지않나 싶습니다. 이런 창이 열리면 그냥 가볍게 “Alt+a” 해주시면 다음 진행으로 넘어갑니다.

Ping 명령

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ping 명령을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.   * ping  Packet Internet Groper 약어로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(ICMP) 에코 패킷을 간단한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옵션이 약 10여개 정도있지만 -t 옵션만 사용하겠습니다.   형식 : ping -옵션 대상ip 입니다.   정상 예) ping -t 168.126.63.1 를 입력했을 때 아래 처럼 나온다면 정상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.   …
Ping 명령 더보기

인터넷 실행시 나오는 오류창 shdocvw.dll 편!

출처 : 본인 / www.krcafe.pe.kr 1. 인터넷 창을 열면 아래의 에러창이 나오면서 열리지가 않는다. 약 1달전 회사에 출근을 하니 위와 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제보(? ^^ ) 가 많이 들어왔었다. 기존의 dll 손상이라고 보기에는 갑자기 많은 제보인듯 했다. 문제가 발생한 컴퓨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이리보고 저리보니 참 어이없는 경우였다! adobe가 아닌 abobe 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가! …
인터넷 실행시 나오는 오류창 shdocvw.dll 편! 더보기

지능화 되는「3세대 피싱」주목하라

피싱(Phishing)은 개인정보(Private Data)와 낚시(Fishing)의 합성어로 낚시 수법으로 개인정보 빼내간다는 의미의 합성어다. 은행과 같은 유명기관을 사칭해 개인에게 이메일을 보낸 뒤 사람들이 이메일을 통해 위장 홈페이지에 접속,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몰래 빼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. 피싱은 공격 이후의 의도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. 대부분의 바이러스, 웜 및 기타 악성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사용자의 컴퓨터나 파일에 손상을 입히거나 이를 …
지능화 되는「3세대 피싱」주목하라 더보기